목록WACC (3)
Data Analysis for Investment & Control
주식투자가가 기업의 내재가지를 분석할 때, 주로 자산가치와 수익가치 그리고 성장(프랜차이즈) 가치라는 것을 평가하게 된다. 그 중에서 개인적으로 투자 대상 기업을 분석할 때 비중을 많이 두는 쪽은 수익가치이다. 기업의 현재의 수익가치(Earnings Power Value)는 미래의 수익이나 현금 흐름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으며, 과거의 수익보다 현재와 더 많은 상관 관계를 가진다. 수익에 대한 벤자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의 전통적인 가정은 다음과 같다. 1. 적절하게 조정된 현재의 수익은 지속성 있는 배분 가능한 현금흐름 수준에 상응한다. 2. 이런 수익 수준은 먼 미래까지 그대로 계속된다. 이렇게 가정할 때, 기업의 수익가치를 구하는 공식은 EPV = 조정된 수익 × 1 / R 여기서 R은 현재..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주가수익률, PER이다. 기업 분석 리포트에서 적정 주가 계산의 근거로 활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뉴스에서 PER이 높다는 것을 이유로 그 회사의 주가에 거품이 끼었다고도 말을 한다. 펀드에 돈을 맡기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주식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지표일 PER이지만, 단순히 네이버 등의 포탈 사이트에 나오는 기업 분석자료의 PER을 믿고 사용하지는 않는지, 아니면 자신이 이용하는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HTS(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PER을 그대로 보고 믿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주가수익률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주당순이익 지표인 EPS에 대해 알아야 한다. EPS(Earning Per Share)..
기업의 수익가치(EPV)를 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본비용률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비즈니스 스쿨에서 가르치고 또 실제 투자세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WACC(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즉 가중평균 자본비용을 구해야한다. WACC를 계산하려면, 다음의 세 단계를 거친다. 1. 기업의 차입금과 자기자본 간의 적절한 비율을 정한다.2. 기업과 비슷한 기업이 지급하는 이자비용과 비교함으로써 세후 이자비용을 추정한다.3. 자기자본비용을 추정한다. 학계에서 인정받는 자기자본 비용 추정 방식은 자본자산가격모델(Capital Asset Pricing Model)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중요한 변수는 주식시장 전체의 변동률과 관련하여 해당 기업의 주가 변동률이 얼마나 되느냐는 ..